본문 바로가기

일상

폼폼 달기 / 월 행잉 장식 / 위빙 / 타피스트리 인테리어 소품으로 태피스트리를 심플하게 만들고나면 약간은 허전한데- 라는 생각이 들때가 있다 그럴 땐 태슬이나 폼폼을 만들어 달아주면 좀 더 있어보이는(?) 좀 더 꽉차고 완성도 있게 느껴지는 작품이 만들어 진다 그냥 맘에 드는 색감으로만들다보니 아직 여름인데도 불구하고 가을느낌이 물씬 나는 월 행잉이 만들어졌다 이 월 행잉에다가 아래처럼 동글동글 몽실몽실한 폼폼을 만들어달아줄 생각. 우선 실은 그냥 털실이어도 상관 없다 일반 털실은 좀 더 꽉 찬 느낌의 폼폼이 만들어지는데 내가 이번에 사용한 실은 아래 사진처럼 실의 결이 고대로 느껴지도록 합사된 실이라 다 만들고 나면 실 하나하나가 풀어져 실의 결이 곧잘 보이는? 좀 더 시원한 느낌의 폼폼이 만들어진다 아무튼 실 끝을 손가락 끝에 맞추어 잡고 손가락 .. 더보기
프린지(수술)달기 / 태피스트리 / 위빙 태피스트리 기법 중 기본인 평직 쌓기에 이어 이번에는 흔히 수술이라고도 하는 프린지 달기- 위 사진 처럼 작품 아랫 부분에 술이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평직 쌓기 만큼 쉽다아 우선 평직을 먼저 쌓아두어야 하는데 약1cm 가량 이면 충분할 듯 하다 이때 쌓는 평직은 프린지를 받쳐줄 목적으로 쌓는 것이라 프린지를 달고 나면 술에 가려 거의 보이지 않는 부분. 위 사진 처럼 평직을 쌓았다면, 우선 실을 특정 길이만큼 일정하게 잘라야 한다 실이 너무 가늘다면 술을 달아도 풍성하지 않기 때문에 같은 길을 여러가닥 뭉쳐 하나의 실 처럼 사용하면 된다 나는 위의 실처럼 가는 굵기의 실을 가지고 프린지를 하려고 마음먹은지라 너무 가늘어서 같은 실 3~4가닥 정도 뭉쳐 사용했다 우선 실을 세로 실 두 가닥에 걸쳐.. 더보기
평직 쌓기 / 태피스트리 / 위빙 태피스트리를 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기법 바로 평직이라고 하는- 세로 실 하나 위, 하나 아래를 반복하여 지나가게 하면 되는, 아주 쉽다 보이시죠? 실을 쌓아가면서 한번 지나가고 다시 돌아올 땐 전에 지나갔던 실과 반대로 세로실을 엇갈리게 걸어줘야 한다아아 다만, 실을 통과시킨 다음 쭈욱 잡아당겨 팽팽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약간 느슨하게, 포물선 그리게 선을 살짝만 통과시킨 후에 콤(빗)으로 쓱쓱 빗어내려 정리해주면 된다 세로 실이 보이지 않게 쌓아야 하기 때문. 헤헤, 나는 콤 대신 약간 큰 포크로 대용했는데 손잡이도 길고 실 간격이랑도 적당하게 맞아서 생각보다 사용하기 편해서 애용하는 중. 콤 없으신 분들은 저 처럼 큰 포크로 대용하셔도 되요 아무튼, 가로 실을 팽팽하게 쌓으면 세로 실이 보이게 .. 더보기
딥디크 도손 / Diptyque Do Son EDT 심플한 느낌의 바디.패키지도 화이트와 블랙으로 아주 심플, 깔끔한 느낌. 딥디크 향수들마다 각자 다른 그림, 그리고 향수 앞 뒤로 보이는 그림이 다 다른데도 손에 프린팅 되어 있는 그림은 향수의 탄생 이야기에서 알 수 있듯, 오리엔탈한 느낌이 물씬 풍긴다 첫 느낌에선 상큼하게 표현된 플로럴 향이 프레쉬하게 느껴지는 향수인데오묘하게 꽃과 풀향기가 섞인 듯한 느낌이 매력적이다시간이 지날수록 머스크의 파우더리함이 향을 좀 더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것 같다 처음에는 어디선가 한번쯤 맡아본 향같은 익숙한 느낌도 없잖아 있다머스크 베이스에 우디함이 배인 듯한, 약간 풀향기 같이 쌉싸름한 묘한 향이 사용하면 할 수록 흔한 느낌이란 생각은 사라지게 하고 섬세하면서도 매혹적으로 만들어 주는 것 같다한편으로 익숙한 듯하면서.. 더보기
경남 도립 미술관 / N 아티스트 2016 - 새로운 담지자 / 창원전시 "앨리스가 그 곳에서 발견한 것"이란 전시를 보러 갔던 경남 도립 미술관. 동시에 N아티스트2016-새로운 담지자란 전시도 같이 진행하고 있어 관람했다 1000원의 관람료를 내면 앨리스가 그곳에서 발견한 것이란 전시와 N아티스트2016-새로운 담지자란 전시를 모두 관람할 수 있다 전시 기간도 앨리스와 동일하다 전시 기간 2016.06.09~08.24 관람료 성인 1000원 청소년,군인 700원 어린이 500원 관람시간 10:00~19:00 월요일, 명절 휴무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용지로 296 앨리스의 전시와 동시에 진행이 되고 있어서 전시홀을 자세히 구분해 보지 않으면 헷갈릴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저 위에 보이면 전시 설명이 적힌 벽 뒤로는 이런 설치물이 있다 작품명 - "열망과 욕망의 중간 어디쯤.. 더보기